CPU 제조사로 잘알려진 AMD 에서 만들어진 데스크탑에 들어가는 라이젠5,
미들급으로 일반적인 사무용도 부터 게임용까지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다.
7nm 공정으로 만들어져 AM4 기반을 사용한다. 교체나 기존 보드를 이용하려면
소켓이 지원을 하는지 메인보드 확인도 필수이다. 가끔 착각 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ZEN 2+ 기반이 아니다. ZEN2+ 로 출시된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차세대 ZEN 3 기반이어서 메인보드는 400,500 시리즈 이상이어야 한다. 원래 출시 당시에는 500시리즈만 지원한다고 발표를 했었지만 업데이트를 통해 400 시리즈도 지원을 하게됬다.
라이젠 5 5600G 의 상세스펙이다.
사양은 코어수 6개, 스레드 수 12개를 지원하며 기본클럭은 3.9Ghz로 작동하다가
많은 양의 작업이 이루어질때 최대 부스트 클럭으로 4.4Ghz 까지 높아진다.
오버클럭도 지원하기에 언락기능으로 최대 부스트 클럭이상으로 높일 수 있지만,
너무 많이 올리게되면 발열 문제도 해결하야 하고 부하가 심해지면 수명이 짧아 질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한다. CMOS 는 TSMC 7나노 FinPET 이다. pci express 버전은 3.0 으로 2021년 출시된
cpu 치고는 4.0 반영이 안된것이 다소 아쉽다. 기본 TDP 는 65W로 사용하는 전력량을 의미한다.
최대온도는 95도,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90도 이상 올라갈 일이 없다. 쿨러 장착과 서멀 도포는 필수이다.
당연히 윈도우 10을 지원한다고 하고 윈도우11에서도 현재 완벽 지원이 되는 상태이다.
라이젠5 5600X 이다.
코어수는 6개, 스레드수는 12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지고있다.
기본클럭은 3.7Ghz로 약간 낮지만, 최대 부스트 클럭은 4.6Ghz 이다. 당연히 오버클럭이 가능하고 발열에만 조금 주의를 해주면 될거 같다. L3 캐시는 32MB 로 2배가량 높은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패키지는 AM4 로 동일하고 PCIe 4.0 을 지원해서 라데온에 최적화가 굉장히 잘되어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사용한다면 아직 RTX3000 시리즈 끝판왕인 RTX3090 도 아직 PCI-E 3.0을
사용 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다만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경우에는 PCIE4.0 을 사용하기 때문에
지원을 해준다면 좀더 높은 대역폭으로 활용이 가능해 활용성이 대폭 넓어진다.
RYZEN 5 5600G 에 탑재된 내장그래픽 카드의 정보로는
그래픽 클럭 1900MHZ 그래픽 코어수 7개로 모델명은 Radeon Graphics 라고 표기된다.
성능은 대략 5년전 보급형 외장 그래픽카드 정도된다. UHD 유튜브 재생에도 문제 없고, 3D 고품질
그래픽을 요구하는 게임만 아니라면 온라인게임은 어느정도 다 가능한 수준이고, 이로 인해 따로 외장 그래픽이 필요가 없어 요즘같이 그래픽카드가 비싼 경우에는 가정용으로 인기가 많아
가성비구성으로 꼽힌다.
'자료실 > PC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젠 5세대 노트북 데스크톱 공개! (0) | 2022.02.22 |
---|---|
라이젠 4세대의 모든 가이드. 짚고가자! 5600X 5800X 5900X (0) | 2022.02.20 |
RTX2060 12G 모델을 골라야 하는이유! (0) | 2022.02.17 |
라데온 RX6500XT 성능은 어느정도? (배그, 콘솔게임) (0) | 2022.02.15 |
지포스 GTX1060TI 어떨까? (0) | 2022.02.14 |